Spring Boot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Spring] @Transactional 동작 원리와 트랜잭션 롤백 처리 방법 1. @Transactional이란?Spring에서 @Transactional은 **트랜잭션을 자동으로 관리**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.이 기능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,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롤백(rollback)할 수 있습니다.✅ @Transactional의 주요 기능✔ 트랜잭션 시작 및 종료 자동 관리✔ 예외 발생 시 자동으로 롤백✔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처리2. @Transactional 사용 예제🔹 기본적인 @Transactional 적용아래 예제는 회원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되는 코드입니다.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Service;import org.springframework.transactio.. [Spring] @Autowired와 @Inject 차이점 및 올바른 사용법 [Spring] @Autowired와 @Inject 차이점 및 올바른 사용법1. @Autowired와 @Inject란?Spring 프레임워크에서는 **의존성 주입(Dependency Injection, DI)** 을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, 유연한 코드 구조를 제공합니다.Spring에서는 의존성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어노테이션을 제공합니다:@Autowired (Spring 전용):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의존성 주입 어노테이션@Inject (자바 표준 - JSR 330): Java 표준 의존성 주입 어노테이션 (javax.inject 패키지에서 제공)2. @Autowired와 @Inject의 차이점구분@Autowired@Inject제공Spring 전용 (org.spri.. 이전 1 다음